본 사이트 링크의 2차 공유는 삼가하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식 명칭은 "상동-오산간 고속철도 주식회사"입니다.
예전 지인이었던 분들의 거주지를 잇는
오산-평촌-수지구청-동천-합정-상동 간의 노선이 시초입니다.
이후 먹자골목역(현 귀인역)과 삼전역 고속터미널역이 추가되고,
상산철도 남산선(남동구청-오산)간의 노선 계획과 합쳐지며
현재의 상산선이 완성되게 되었습니다.
상산철도의 로고는 상산철도의 주요 세 노선(상산선, 산천선, 경주선)의
노선색을 반영한 것으로, 세 노선이 서로 이어주며 조화를 이룬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산철도에서는 여러분들의 협력 덕분에 TTS방식이 아닌 사람 목소리 방식의 안내방송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사람의 자연스러운 목소리가 노선 운행 시의 몰입감을 더해줍니다.
목소리는 Airdefence님과 CRuXhiv님께서 지원하여주셨습니다.
상산선의 차내 방송과, 제주선의 역 방송을 맡으셨습니다.
상산선의 역 방송과, 제주선의 차내 방송을 맡으셨습니다.
상산철도와 함께하실 성우분을 모집합니다.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저작권은 사이트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상산선은 경기도 오산시 오산역에서 서울시를 경유하여 인천시 장봉도에 있는 장봉역까지 잇는 노선입니다.
초기 오산-상동 7역간의 계획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56개 역을 가진 장거리 노선이 되었습니다.
Version 0.5에서 병점, 수청역을 제외한 오산-수원 역 간의 구간이 공개되었으며,
현재 Version 1.0 에서는 수청, 호계, 학의역을 제외한 오산-동천역 간 11개 역의 노선이 공개 됩니다.
다음 Version 2.0 에서는 오산-이수역 간 31개 역의 노선이 공개됩니다.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이수-상동, 상동-장봉 순서로 개통시킬 예정입니다.
이 사진의 저작권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Designed by Me
상산철도 341000호대는 상산철도 N01계 3차차를 계승한 편성명이며,
홀리트레인 님의 동해선 열차를 베이스로 제작하였습니다.
열차의 구동음은 Satorin Bridge님의 도시바 PMSM을 장착하였으며, 가속도는 약 3.5/h/s입니다.
.animated 구문을 사용하여 보다 사실적으로 구현되어있으며,
차내에는 출입문 위 LCD와 통로문 LCD를 비롯해 기존 동해선 열차와는 완전히 다른 형식을 하고 있습니다.
추 후 Sketch Up을 통해 완전 입체화를 진행 할 예정입니다.
산천선은 경기 광주시에서 강원도 춘천시를 잇는 노선입니다.
초기에는 상산선과 직결하여 오산역부터 동천역까지 공용구간으로 사용하고, 그 이후부터 산천선 구간으로 분리되는 형태였습니다.
이후 구간이 변경되어 기존 "동주선"의 구간이었던 곤지암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제작 일정은 아직 미정입니다.
제주선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제주역부터 서귀포시의 서귀포역을 거쳐 마찬가지로 서귀포시의 서귀포항역을 잇는 노선입니다.
운영은 마치 도큐-미나토미라이 와 같이 운영됩니다.
위의 경주선과는 기존 동주선과 같이 상호 직결하며, 서귀포항역에는 일부 열차만 진입하는, 마치 우미시바우라역같은 형태로 운영됩니다.
돌섬인 제주도의 특성을 살려 제주역을 제외하고 전 구간 지상으로 건설되며, 급행도 운영됩니다.
상산선 2.0버전과 같이 공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상산철도의 편의점 브랜드이며
상산철도 역사 내의 자판기 설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상산철도 계열의 중공업 회사입니다.
상산철도의 열차 제작도 이곳에서
행해집니다.
상산철도 계열의 건설 기업입니다.
상산철도 관련 건설은 이 회사에서
진행합니다.
상산철도의 자회사입니다.
아직 공개되지 않은 노선인
SB, SD의 노선을 운영하게 됩니다.
제작자는 금빛모자이크 3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습니다.
상산선을 포함한 모든 노선 안에는 수많은 카렌의 사진이 들어가있습니다.
하나하나 찾아보시는 것도 쏠쏠한 재미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2017 초
상산철도 기본 계획 수립
2017 초
상산철도 기본 계획 수립
2017 초
상산철도 기본 계획 수립
2017 말
상산철도 설립, 상산선 8역 건설 시작
2018 초
상산선 역의 증가(총 37역)
2019 3월
상산선 1.0 배포 (오산-동천) |배포종료|
2019 8월
상산선 1.1 배포
상산선 2.0 배포 (오산-고속터미널)
상산선 3.0 배포 (오산-상동)
상산선 최종 버전 배포 (오산-장봉)